popup zone

경영학과 정구혁 교수, 세계 유수의 경영학술지서 Outstanding Paper 선정

등록일 2019-10-31 작성자 경영대학 조회 1552
3529417547_Hubsehgo_ECA095EAB5ACED9881_ECA095EBA9B4_.jpg
 
경영학과 정구혁 교수의 논문 “Innovation implementation as a dynamic equilibrium: Emergent processes and divergent outcomes (Chung, G. H, & Choi, J. N., 2018)”이 세계 유수의 경영학술지인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으로부터 2018 Outstanding Paper로 선정됐다.

현대의 모든 조직들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살아남고자 혁신(innovation)을 핵심적인 화두로 삼고 있다. 혁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혁신도입(adoption)의 실패율은 70%에 육박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학자들은 최근에, 조직목표에 부합하는 적합한(right) 혁신의 도입뿐만 아니라, 혁신의 일상화(routinization)를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실행(effective implementation) 또한 혁신성공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경영학과 정구혁 교수)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혁신을 통해 얻고자 하는 이익(effectiveness or benefit)은 도입한 혁신을 조직구성원들이 지속적이고 헌신적으로 이용할 때야 비로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최고경영진이 단순히 혁신을 도입한다고 해서 그 혁신이 자동적으로 일상화되는(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구성원들이 그 혁신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그리고 헌신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혁신성공 여부가 판가름 난다.

따라서, 혁신실행이 실제로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왜 처음 계획했던 대로 혁신이 그대로 실행되지 않고 일부만 실행되는지 또는 전혀 실행되지 않는지 등을 설명하는 연구는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최근 세계 유수의 경영학술지(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에서 Outstanding Paper로 선정된 연구(동국대 정구혁 교수와 서울대 최진남 교수 공저)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사회구성주의 관점(social constructionist view)에 기반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혁신실행의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에 의하면, 최고경영진(TMT)은 혁신도입의 결정자(initiator)로서, 일반 구성원들(followers)에게 혁신추진 압력을 가하고 혁신실행을 촉진시키는(facilitating) 다양한 전술(예: 인센티브, 교육, 조직개편 등)을 도입한다.

한편, 노조 혹은 혁신도입 시 권한이 축소되는 등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은 혁신실행에 대해 저항세력(resistor)을 형성하고, 일반 구성원들에게 혁신회피 압력을 가하며 혁신실행을 억제하는(inhibiting) 다양한 책략(예: 거짓보고, 혁신업무 태만 등)을 꾸미게 된다. 결과적으로, 혁신추진 압력과 전술은 혁신실행을 촉진하므로 추진력(Driving Force)을 형성하고, 혁신회피 압력과 책략은 혁신실행을 억제하므로 저항력(Resisting Force)을 형성한다.

혁신실행의 초기는 정치적 힘(혁신추진/회피 압력)에 대한 비교/평가 단계(power evaluation stage)로써, 일반 구성원들(followers)은 initiator와 resistor 중, 강한 힘(power)을 가진 쪽(party)을 따르려 하고, 다음의 전술평가 단계(tactics evaluation stage)에서는 자신에게 이익을 더 많이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party)에 서며, 궁극적으로 구성원들은 이러한 2단계의 평가를 통해 다음의 4가지 형태 중 하나의 혁신실행 행동/결과를 보인다: (1) 추진력이 저항력보다 훨씬 클 때에는, 처음 계획 그대로 실행함(Implementation without Change); (2) 추진력과 저항력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각각의 전술의 효과 또한 차이가 없을 때에는, 혁신을 수정하여 실행함(Modified Implementation): (3) 추진력과 저항력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나 전술/책략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혁신을 최소한으로 실행함(Minimum Implementation): (4) 추진력이 저항력보다 훨씬 작을 때에는, 혁신실행을 실패함(Implementation Failure).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에 의하면, 실무자들은 혁신실행에 따른 조직내 사회정치적 힘(sociopolitical power)의 변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한편, 실제 혁신을 실행하는 구성원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회경제적 전술(socioeconomic tactics)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